소동물 임상증례집 - 재활의학

재활의학 | 흉요부추간판허니아의 단계별 재활치료프로토콜과 증례보고③

페이지 정보

작성자 ROYAL 등록일14-06-05 11:40
조회8,532회 댓글0건

본문

흉요부추간판허니아의 단계별
재활 치료 프로토콜과 증례 보고③
 
 
증례 2
7년령, 암컷 닥스훈트가 요통과 뒷다리의 파행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3일전부터 침대에 오르지 못하고 배변시 주저앉았다고 하였다. 다음날 CT검사를 통해 T11-13사이의 추간판 돌출 물질이 확인하였다. 흉부추간판허니아 Grade II로 진단을 내렸다. 보호자가 퇴원을 희망하여 보존 요법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1주일 후 고유 자세 반응의 미약, 체중 부중의 감소와 통각 평가에서 심부 통각만 존재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었고 Grade III로 진행하였다. 이날 바로 외과적 수술(Hemilaminectomy)로 추간판 돌출 물질을 제거하였다. 수술 후 일시적으로 심부 통각이 소실되었으나 바로 회복되었으며,
고유수용성감각은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재활 치료는 수술 후 3일째부터 시작하였다.
증례는 재활 치료는 6주간 시도 되었는데 재활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좋았다. 1-2주차의 입원 기간은 2주였으며 매일 1회의 재활 치료가 적용되었다. 3-6주차는 통원 치료로 주 3회의 재활 치료가 적용되었다.
 
 
 
재활 치료 1-2주차
재활 치료 1주차에는 cage rest와 함께 주로 cage안에서 이루어졌다(그림 1).
 
그림15.jpg
그림 1. 입원장에서의 체중지지 운동과 전기치료.
 
통증 관리와 불용성근위축 예방을 위한 흉요추부 및 뒷다리의 마사지(20min)와 전기 치료(20min)를 실시하였다. 수술 후 7일째부터 스스로 자세를 이동하는 등 반응이 양호하였다. 재활 치료 2주차부터는 마사지, PROM, 스트레칭, 체중지지 운동(>40min), 간섭파전기치료(30min), 적외선요법(15min)이 이루어졌다(그림 2).
 
그림16.jpg
그림 2. 체중지지 운동
 
2주차 후반에는 스스로 보행이 가능했으며 양호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그림 3).
그림17.jpg
그림 3-1. 스스로 기립
 
그림18.jpg
그림 3-2. 보행 시도
 
 
재활 치료 3-6주차
증례의 치료 반응이 좋아 통원 치료를 하였으며 주 3회로 재활 치료를 실시하였다. 상태는 상당히 호전되었으나 배변시 자세를 잘 유지하지 못하였기에 근력 강화와 균형 감각 향상을 목적으로 기존의 재활 치료에 Hydrotherapy(30min)와 균형 감각 운동(5~10min)을 추가하였다(그림 4).
 
그림19.jpg
그림 4. 수중런닝머신
 
수중런닝머신은 증례에게 체중지지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보행 훈련을 통한 근력 강화가 가능하다. 또한 밸런스보드를 이용한 균형 감각 운동은 고유수용성감각 회복에 효과적이다(그림 5).
 
그림20.jpg
그림 5-1. 밸런스 보드 운동
 
그림21.jpg
그림 5-2. 밸런스 보드 운동
 
 
 
재활 치료 5주차에는 보행과 균형 감각이 더욱 안정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빠른 속도로 걷는 등 활발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6).
 
 
그림22.jpg
그림 6. 재활 치료 5주 후의 모습
 
 
증례 3
3년령, 수컷 믹스견이 양쪽 뒷다리의 부전마비를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촉진에서 panniculus reflex L3에서 소실되었으며, 심부 통증은 양쪽 뒷다리에서 모두 미약하게 존재하였다. X-ray 검사 및 CT 검사를 통해 T11-12, T12-13사이의 추간판 돌출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흉부추간판허니아 Grade III로 진단되었다. 그리고 혈액검사에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아 이날 바로 외과적 수술(Hemilaminectomy)을 통해 추간판 돌출 물질을 제거하였다. 재활 치료는 수술 후 4일째부터 cage-rest와 함께 가벼운 물리 치료부터 시작하였고 컨디션 회복과 함께 수술 후 6일째부터 본격적인 재활 치료를 실시하였다.
 
재활 치료 기간은 약 3달이였으며, 수술 후 15일째까지는 입원과 함께 집중적으로 재활 치료가 이루어졌고, 이후부터는 통원과 함께 8주째까지는 주 3, 9주째부터는 주 1회로 이루어졌다.
 
 
 
1-2주차 재활 치료
재활 치료 1주차에는 cage rest와 함께 주로 cage안에서 실시하였다. 보조하에서 약간의 기립은 가능하였으나 스스로 기립하거나 보행은 어려웠다. 또한 통증 관리와 불용성근위축 예방을 위한 흉부 및 뒷다리의 마사지(20min)와 레이저요법(10min), 적외선요법(15min), 단시간의 체중지지 운동(20min) 등의 물리 치료를 실시하였다(그림 1).
 
그림23.jpg

재활 치료 2주차부터는 cage 밖에서 1주차와 동일한 재활 치료와 함께 흉요부의 간섭파전기요법(20min)(그림 2), 밸런스보드(5min)(그림 3)를 이용한 균형감각운동을 추가하였고 마사지, PROM(그림 4), 스트레칭(그림 5) 등 손을 이용한 물리치료(20min)의 강도를 높였다. 감각 검사에서는 심부 통증은 명확하였으나 고유수용성감각은 소실되어 있는 상태였다(그림 6).
 
그림24.jpg

그림25.jpg

그림26.jpg

 
그림25.jpg

그림26.jpg

 
3-4주차 재활 치료
스스로 기립하여 불안정하지만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되었고, 고유수용성감각 또한 상당히 호전되었다(그림 7). 3주차 재활 치료로는 기존의 재활 치료와 함께 고유수용성감각 향상을 목적으로 짐볼 운동(5min)(그림 8)을 추가하였다. 증례의 상태가 많이 좋아져 입원 치료에서 통원 치료로 이행하였다. 4주차에는 간섭파전기요법을 실시하지 않고 Hydrotherapy(30min)(그림 9)를 추가하고 마사지, PROM, 스트레칭, 균형감각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보호자에게 집에서 가능한 재활치료를 교육하여 집에서도 꾸준히 재활 치료가 이루어졌다.
 
그림27.jpg
 
5-6주차 재활 치료
병원에서의 재활 치료와 집에서의 재활 치료를 통해 기립과 보행 상태가 점차 좋아졌으며, 때로는 속보도 가능하였다(그림 10). 4주차까지 사용되었던 치료 계획을 수정하여 Hydrotherapy와 균형감각운동의 비중을 높였다. 이로써 6주차 후반에는
간혹 균형이 무너지는 모습도 관찰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양호한 보행 상태와 균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28.jpg
 
7-8주차 재활 치료
지속적인 마사지, PROM, 스트레칭과 함께 강도 높은 균형감각운동 및 Hydrotherapy를 중심으로 재활 치료를 실시하였다. 고유수용성감각은 거의 회복되었지만, 아직까지 균형 감각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밸런스보드와 짐볼 운동의 비중을 높였다(그림 11, 12). 8주차 마지막 재활 치료에서는 상당히 개선된 보행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13).
 
그림29.jpg
 
9주차 이후 재활 치료
보호자는 증례의 회복 정도에 만족하고 집에서의 재활 치료를 희망하였으며, 이와 함께 주 1회의 재활 치료를 병원에서 실시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