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학 | Cervical Metastatic Adenocarcinoma의 CT를 이용한 진단 증례
페이지 정보
작성자 ROYAL 등록일14-05-14 14:05조회10,189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Cervical Metastatic Adenocarcinoma의
CT를 이용한 진단 증례
Adenocarcinoma는 상피유래의 점막을 비롯하여, 선조직이나 배설관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선조직, 피부를 포함하는 장기에서 발생한다. 원발병소를 찾지 못한 경부로 전이된 adenocarcinoma는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종양이다. 경부로 전이된 종양의 대부분은 squamous cell carcinoma이며, adenocarcinoma는 매우 드문 종양이다. 일차병변을 찾지 못한 경부로 전이된 종양 중 병리조직학적 진단이 이루어진 증례 중 약 81%가 squamous cell carcinoma이었으며, adenocarcinoma는 약 7.6%에 불과했다(Journal of Otolaryngology of Japan 2003; 106(6): 671-677).
본 증례에서 원발병소는 찾지 못하였으며, CT 진단을 통해 경추에 발생한 종양을 진단하였다. 사후 부검 및 조직검사를 통해 cervical metastatic adenocarcinoma로 확진하였다. 15세령의 중성화된 수컷 요크셔테리어 견으로 2003년 처음 내원하였다. 페디그리 사료를 약 1년 동안 섭취하였으며, 페디그리 사료에 의한 CRD 진단을 받았다. 내원 당시 BUN 50(mg/dl), CRE 5.1(mg/dl), USG 1.016으로 측정되었다. CRD 단계는 CRD stage I로 진단하였다.
2007년 4월 검사 시 BUN 45(mg/dl), CRE 1.4(mg/dl), USG 1.010으로, CRD stage III로 증상이 발전 되었다. 초음파 검사에서는 양쪽 신장에 결석이 관찰되었으며 초기와 비교해서 크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그림 1, 2, 3, 4).

2007년 5월 unknown pain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후 간헐적으로 pain을 호소하였으나, 방사선 소견상 좌측 슬개골의 DJD소견만 관찰되었으며, 다른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그림 5, 6, 7, 8).

2007년 4월에는 회음부와 좌신의 후방에서 종괴가 관찰되었다. 회음부의 종괴는 hernia된 지방으로, 좌신 후방의 종괴는 난소로 판명되었다. 2007년 6월 전신의 통증과 위약증으로 내원하였으며, 방사선 검사에서 C5 추체의 opacity 감소가 관찰되었다(그림 9, 10).

CT검사와 PTH, ionized calcium 검사를 결정하였다. Ionized calcium 1.2(mmol/L), Parathyroid hormone 5(pg/ml)로 ionized calcium은 정상 범위였으며, PTH는 약간 감소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CSF 검사에서도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C5의 Lt region에서 광범위한 bone lysis 소견이 관찰된다(그림 11, 붉은색 화살표).

Bone lysis 소견은 추체의 좌측 추궁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된다. Bone window에서 뼈의 소실정도를 평가하면 좀 더 심각한 골융해 소견이 관찰된다. 추체의 좌측 추궁과 추체의 몸통 일부까지 골융해 소견이 관찰된다(그림 12,붉은색 화살표). 골융해가 지속적으로 진행 된 소견이 관찰되며, 추궁의 골절이 예상된다. 흉부 CT사진에서 좌측 후엽의 배측부에서 종괴가 관찰된다(그림13, 노란색원).
이는 방사선 사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종괴로서 CT사진에서 관찰된다. C5에 침습한 종양이 폐로 전이 된것으로 생각된다. CT 검사 후 전지의 위약증과 Rt head turn증상이 관찰되었다. 2007년 9월 방사선 검사에서 C5 추체의 opacity가 약 50%정도 더 감소 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주변 경추로 전이된 골융해 소견이 관찰되며, 일부는 붕괴되어 골절 소견이 관찰된다. 신경계 검사에서 전후지에서 UMN sign이 관찰되었다. 이후 방사선 검사에서 C5 추체의 opacity가 더 많이 감소 되었으며, 이후 폐사하였다. 폐사 후 추체의 조직 검사를 통해 C5로 전이된 cervical metastatic adenocarcinoma로 확정 진단하였다.
고찰
지금까지 종양의 진단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만 의존해 왔다. 그러나 본 임상증례에서처럼 기존의 영상진단법은 질병의 초기진단에서는 한계가 있다.
골의 변화상을 관찰할 경우 기존의 영상진단법에 추가로 CT를 이용한 진단법이 적용될 경우 질병의 조기 진단과 예후평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