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물 임상증례집 - 신경계

정형외과 | 양측 하악골이 골절된 미니핀

페이지 정보

작성자 ROYAL 등록일14-05-14 12:59
조회10,966회 댓글0건

본문

양측 하악골
골절된 미니핀
 
● 신상명세 / 병력
10월령의 암컷 미니핀이 하악골의 골절로 새벽에 응급으로 내원하였다. 2개월전 분양 받았으며, 외력에 의해 골절이 되었다. 성격이 난폭하여 만지지 못하게 하고 잘 물려고 하는 특징이 있다.
 
● 신체검사
골절된 양측 하악에서 출혈이 있었으나(그림 1), 이외 신체검사상 다른 특이소견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림1.jpg
 
● 임상병리 검사 소견
ALT AST가 약간 높게 나온 것을 제외하곤 특이한 소견은 없었다( 1).
 
● 방사선 검사 소견
타원에서 양측 하악골의 골절 상태를 방사선 촬영으로 체크를 한 상태로 내원한 원하였다. 환자가 너무 예민하여 정확한 치과 방사선 체크가 어려웠다. 다음은 타원의 자료다(그림 2).
 
그림2.jpg
 
 
● 진단
양측 하악골의 골절(bilateral mandibular complex fracture, premolar part)
 
● 치료 / 경과
우측 하악의 골절부는 1-2번째 전구치 사이에서 발생한 사골절이었고, 좌측 하악골절은 견치 전후측의 복합골절이었다(그림 3, 4).
 
그림3.jpg
본 환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양측 하악골의 골절을 교정하였다. 우측은 사골절이어서 교정이 용이하였지만 좌측은 견치부위의 전후측 골절이어서 교정이 어려웠다(그림 5, 6). 견치는 치조골에서 골절되어 있었다. 좌측 골절부를 하나씩 와이어로 교정하기에는 고정부위가 모두 견치의 치수를 관통하여야 하는 관계로 일일이 교정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아 견치 전후의 좌우측 하악을 모두 와이어로 교정하였다.
 
그림4.jpg
 
수술 후 교합상태가 불량하여 와이어를 이용하여 우측 하악의 각을 조정하였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술창을 폐쇄한 후, 턱의 움직임을 제한시키기 위해 muzzle tape을 장착한 후 수술을 종료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일째부터 유동식을 급여하였으며 입원하는 동안 식욕은 양호하였고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이상 증상은 없었다. 순조롭게 치유가 경과되어서 환자는 입원 5일째에 퇴원조치 하였다. 투약으로는 cephalexine 30mg/kg, serratiopeptidase BID 3일간 처방 하였다.
 
그림5.jpg
 
● 보호자 교육
본 환자의 경우, 골절부의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질 경우 3-5주면 가골이 찰 것이고, 8주전후로 골절 치료가 마무리 될 예정이다. 보호자에게 다음 사항을 고지하고 치료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부탁하였다
 
● 보호자 지시 사항
- 골절 치료가 종료될 때까지 muzzle tape을 유지하고 유동식을 급여합니다.
- 수술 후 14일 전후 발사를 요합니다.
- 발사시기까지는 항생제 및 소염제의 복용을 요하며 포비돈 소독액을 이용하여 술부의 이물을
  제거하고 소독해야 합니다.
- Muzzle tape 아래쪽은 습윤하여 피부가 짓무르기 쉽고 테이프로 인한 피부 자극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저분해지거나 자극 시 교체 합니다.
- 1-2주 간격으로는 방사선 검사가 필요합니다.
- 좌측 견치는 치조골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현재 발치를 하게 되면 좌측 하악 골절부의
  결손부가 너무 넓어 골절 치유를 방해하고 재골절의 원인이 되므로 발치는 금물입니다.
  하지만 현재 좌측 하악 견치는 약간 외측을 향하고 있고 치수 노출로 인해 치아의 색이 변해가고
  있어 골절 치유가 마무리 되는 시기까지 치아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골절 치유 후 발치를 요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