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물 임상증례집 - 신경계

정형외과 | 로얄동물메디컬센터에서 골절환자의 평가 및 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15-06-24 17:43
조회12,351회 댓글0건

본문

로얄동물메디컬센터에는 수 많은 골절환자가 내원한다. 골절의 원인, 부위, 골절된 양상 등이 매우 다양하고 제각각이라 이에맞는 수술과 관리방법등이 정형화되어있지 않다면 항상 동일한 결과와 좋은 예후를 보기는 힘들 것이다. 그 때문에 AO 원리를 기반으로 본원만의 골절환자의 진단, 평가 및 관리표를 만들어서 운용중이다. 이번 논고에서는 이 골절표에 대해서 어떻게 적용하고 사용하고 있는지 설명을 하려한다.



1.Sifnalment
표의 가장 윗부분에는 환자의 종, 성별, 나이, 체중, 이름과 같은 정보가 기록된다. 이 중 환자의 나이와 체중(body score)은 골절의 예후평가에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되어진다.

그림1.jpg


2.Fracture type
1) Localization & morphology of fracture
- 각각의 골절부위를 하나의 표에 기록하기 위한 간편한 방법으로 각각의 뼈와 골절된 부위, 골절 양상을 숫자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Fig. 1). 이는 사지의 장골에만 적용하는 방법으로 상완골을 1번, 요척골을 2번, 대퇴골을 3번, 경골을 4번으로 정하고 이 장골의 근위부를 다시 1번, 중간부위를 2번, 말단부위를 3번으로 정한다.

그림2.jpg

그리고 골절된 양상에 따라 단순골절을A , 사골절 및 나선골절을 B, 복합골절엔 C를 적어서 표기한다.


2) Open fracture
- 개방골절 역시 type 1~3까지 분류하며 type 3의 경우 다시 a,b,c로 구분하여 표기한다(Table 2) .

그림3.jpg

Type 1은 뼈가 피부를 관통, 작은 관통 구멍을 낸 것으로 개방창이나 뼈가 안 보이는 경우도 있다.

Type 2는 뼈가 피부를 관통, 한층 더 넓은 범위에 조직 손상이 있을때를 말하지만 대부분 단순 골절인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Type 3의 경우 심한 분쇄 골절로 광범위한 연조직의 손실과 넓은 범위의 피부 손실이 있는 경우이다.


3) Physeal Fracture
- 성장판 골절은 널리 알려진 Salter harris type을 이용해 분류한다(Fig. 2).

그림4.jpg



3.Fracture assessment score (FAS)
- 골절의 평가점수는 크게 mechanical, clinical, local, systemic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며

이 4항목의 평가점수의 합을 FAS로 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예후가 좋다(Table 3).

그림5.jpg


4.Preoperation plan and Operation
- 다음 항목은 위에서 평가한 골절 점수를 기반으로 수술의 계획을 결정하고 수술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수가 높다면 핀이나 와이어 같은 간단한 재료를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고 점수가 낮다면 plate&screw나 ESP와 같은 단단한 고정방법에 추가로 자가골 이식이나 인공뼈, BMP와 같은 물질들의 적용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Table 4).

그림6.jpg


5. 술 후 경과 기록
- 골절 발생일, 수술일, 수술 후 가골 형성시기, 골 위축이 나타나는지 여부, 파행점수 등을 기록하여 골 유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와 보행이 좋아지고 있는지 여부를 기록한다. 특히 파행점수는 12주동안 1~2주간격으로 check하여 기록한다(Table 5). 또한 개방골절의 경우 세균동정과 항생제 감수성검사를 진행하였다면 그것을 기록한다.

그림7.jpg


6. Total assessment
- 골절 수술 후 환자의 진행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기록한다. 뼈의 유합된 시기, 붕대를 적용한 기간, 술 후 다리를 지지하는데 까지 걸린기간, 가골이 형성된 시기, 그리고 plate의 제거가 필요하다면 제거한 시기등을 기록하게 된다. 골전도물질 또는 유도물질등을 사용하였다면 사용여부를 기록하고 마지막으로 이 환자에게 발생된 complication을 기록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차트의 아래쪽에 환자의 술 후 경과 사진을 붙여넣기도 한다.


7. Example
- 본원에서 치료한 한 환자의 골절관리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8.jpg

그림9.jpg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