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물 임상증례집

내과 | 내시경 생검을 이용한 개의 위장관 궤양과 미란의 진단 예

페이지 정보

작성자 ROYAL 등록일14-05-20 17:50
조회15,551회 댓글0건

본문

내시경 생검을 이용한
개의 위장관 궤양미란의 진단 예
 
 
 위장관 궤양/미란(gastrointestinal ulceration/erosion)은 개에서 대부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NSAID: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복용하였을 경우에 일어난다. 비스테이로이드 항염 증약물은 사람에서보다 개에서 반감기가 길다. 그 밖에 위 안에 이물이 있을 경우 상처 치유를 방해하고 궤양으로 인한 출혈을 증가시킨다. 비만세포종(mast cell tumor)이 있을 경우 히스타민(histamine)을 과다 분비하게 하여 위 미란과 궤양을 발생하게 하며, 신부전이나 간부전,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등에서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병의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위 생검을 해보는 것이 좋다.
위 생검을 하는 방법으로 내시경생검을 이용하면 훨씬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다.
 
 
●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
9kg 4개월 령 암컷, 불독이 흑색변(melena)과 혈액성 구토를 호소하여 의뢰되었다. 흑색변은 내원 2일전부터 계속되었다. 4차 예방접종과 심장사상충 예방이 되어있는 상태였고 실내견이었으며 건사료와 간식을 급여했다. 내원 당일 한두 차례 구토를 했다.
신체검사에서 양측 눈의 제 3안검 돌출(cherry eye)을 관찰했고 5% 이상 중등도의 탈수로 판단했다.
 
 
그림1.jpg
                                                                그림 1. 4개월 령 암컷 불독 환자
 
● 진단
혈액검사 결과 전반적인 간수치의 상승과 고인혈증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그림2.jpg
 
응고계 검사결과 정상범위에 있었으며, 방사선 검사결과 위내 이물이 있었다(그림 2, 3). 위내 이물로 인한 객혈과 흑갈색변인지를 확진하기 위해 위내시경생검을 하기로 했다.
그림3.jpg
그림3.jpg
                그림 2. 복배상, 위내 이물 발견                               그림 3. 외측상, 위내이물 발견(화살표)
 
생검용 포셉(biopsy forcep)을 이용하여 조직샘플을 채취했으며(그림 6), 조직검사 결과 소화효소 펩신으로 인한 위궤양(Peptic Ulceration)으로 진단했다(그림4, 5). 객혈과 흑색변을 보일 때의 진단 플로어차트를 참고했다(그림 7).
 
그림4.jpg
                  그림 4 분문부 분비선 조직의 증식 저배율시야, H&E 염색               그림 5 염증세포의 침윤, 고배율시야 H&E 염색

그림5.jpg
                   그림 6. 내시경검사 및 생검
그림6.jpg

● 치료
위 내시경검사를 하면서 위내 이물을 제거했으며, 약물 투여로는 광범위 항생제로 세파렉신(cephalexin)30mg/kg tid, 항소염제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0.5mg/kg bid, 제산제로 시메티딘(cimetidine)10mg/kg tid, 진통제로 트라마돌(tramadol) 2mg/kg qid로 처방했다. 지속적인 산소공급을 했고 안구 충혈을 회복하기 위하여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제제의 안약을 4시간 간격으로 처방했다.
 
내시경 실시 후에 프레드니솔론 처방을 중단하고 타우린(taurine) 250mg/day로 처방하였고 PO제로 엔로플록사신(enrofloxacin) 2.5mg/kg bid, 브롬헥신(bromhexin)0.5mg/kg bid로 처방했다. 별개로 수크랄훼이트(sucralfate) 1g/day를 급여했다. 또한 구토로 인한 오연성 폐렴이 발생하였으므로 분무치료(nebulization) 1 6회 실시하였다.
 
 
● 고찰
위장관 출혈은 출혈의 위치에 따라 진단계획이 달라진다. 선혈변인지 흑갈색변을 나타내는지 관찰하여 상부위장관 출혈이 원인인지, 하부위장관 출혈이 원인인지 추정한다. 혹은 최근 약물을 복용했는지도 알아보고, 방사선촬영 등으로 위내 이물이 있는지 등을 알아본다. 위 케이스는 방사선 검사로 위내 이물을 발견했으며, 내시경 검사를 하면서 위내 이물을 제거했고, 위생검을 실시하여 조직검사를 하여 위 출혈의 원인을 찾아낸 경우다. 정밀한 검사를 통해 바로 정확한 약물투여 결정을 할 수 있었고, 건강하게 퇴원할 수 있었다. 내시경검사 및 생검은 간단하면서도 훌륭한 진단 및 치료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위궤양이 단순 이물 때문에 발전이 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조직 검사상에 분비선의 증식(glandular hyperplasia)이 나타났기 때문에 위궤양(Peptic ulceration)과 이물(foreign body)이 동시에 관찰되었던 케이스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