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 말티스견에서 만성 궤양성 염증을 가진 비인두내 폴립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14-08-18 16:31조회35,626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말티스견에서 만성 궤양성 염증을 가진 비인두내 폴립(Nasopharyngeal polyp with severe chronic active diffuse ulcerative inflammation in a maltese dog)
호흡기 이상을 보이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nasal discharge, sneezing, paroxysmal reverse sneezing, stertor, coughing, abnormal nasal discharge 등의 증상으로 내원한다. 내원한 대부분의 어린 환자는 감염성, 이물성 및 선천성 기형 등의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일부에서는 foreign bodies, benign 또는 malignant neoplasia, inflammatory polyps, fungal granulomas, cysts, choanal atrasia, nasopharyngeal stenosis 등이 진단되기도 한다.
인후두 부위는 개에서 후비공의 이상에 가장 많이 진단되는 해부학적 위치이다. 질환별로는 37두 중 20두(54%)에서 인후두 종괴가 보고된 바있다. 인후두 종괴 중 고양이에서는 53두 중 26두(49%)에서 림프종이 보고되었고 15두(28%)는 염증성 용종이 보고 되었다. 고양이 환자의 또 다른 보고에서는 24두중 7두(29%)가 종양성으로 나머지 16(71%)가 염증성 병변으로 보고 되었다. 환자의 나이는 감별진단을 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많은 노령환자에서는 종양성 질환을 보이고 있다. 환자는 초기 임상 증상으로 다른 호흡기 증상과의 감별이 어려우며 진단 또한 일반적인 스크리닝 검사 외에 CT나 MRI, 내시경을 통한 생검을 통해서 확정 진단을 해야 한다.
증례
9년령의 수컷 말티즈 환자가 약 2주간 호흡곤란과 재채기로 인근 병원 2곳에서 진찰을 받았으며 혈액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해서 상부 호흡기 증상이라고 진단되어 치료 받았으나 호흡기 증상의 악화와 식욕부진으로 인한 체중 감소를 보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는 신체검사 상 폐음은 정상이었으며 경미한 심계항진 과 흥분성 빈호흡을 보였으며 안정시에는 비강 호흡을 하였으나 흥분시에는 개구호흡을 보이며 심한 재채기 증상을 보였다. 보호자분 의견에따라 추가 3일분의 호흡기 증상 완화를 위해 항생제 및 소염제를 처방하였으나 큰 개선이 없었으며 혈액검사 및 일반 방사선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그림 1).

CT검사상 환자는 nasopharyngeal mass가 제1구치 레벨과 동일한 외측선상에서 관찰 되었고 경구개와 연구개의 연접부에 직경 0.8-0.7mm정도의 크기를 보였다(그림 2).


1일 입원 처치후 다음날 수술을 실시하였다. 마취는 전처치는 atrophine, diazepam으로 하였고 isoflurane으로 유지하였다. 복배상으로 자세를 잡고 개구개를 이용하여 입을 열고 목부위에 pad를 두어 두부보다 높도록 유지하였으며 연구개부위를 에피네프린 점막주사 하여 출혈을 예방하였으며 절개와 동시에 출혈부위는 응고 지혈하면서 접근하여 연구개 아래의 정중선을 절개하여 접근하여 종괴를 제거하고 연구개 절개창을 수복하였다(그림 4). 채취된 조직은 조직검사를 통하여 양성의 polyp으로 판정 되었다(그림 5). 수술이후 약 1주간의 항생제 치료와 소염제 치료를 실시하였다.


결론
환자는 기침 증상과 호흡곤란을 보이며 2주 이상을 원인을 모른 상태에서 일반 처치를 받았으며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아서 수의사에 대한 불신을 갖고 본원에 내원하여 간단한 혈액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실시 후에 인후두부 이상을 의심하였으며 3일간의 치료 후에 CT검사을 통 해 인후두 부위에 이물이나 종괴가 의심되어 수술를 실시하여 수술후 3-5일간은 간헐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주기적으로 보였으나 이후에는 모든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식욕 또한 정상을 보였다. 수술 후 1개월 이후에도 임상증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 상태는 양호하였다.
환자는 기침 증상과 호흡곤란을 보이며 2주 이상을 원인을 모른 상태에서 일반 처치를 받았으며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아서 수의사에 대한 불신을 갖고 본원에 내원하여 간단한 혈액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실시 후에 인후두부 이상을 의심하였으며 3일간의 치료 후에 CT검사을 통 해 인후두 부위에 이물이나 종괴가 의심되어 수술를 실시하여 수술후 3-5일간은 간헐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주기적으로 보였으나 이후에는 모든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식욕 또한 정상을 보였다. 수술 후 1개월 이후에도 임상증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 상태는 양호하였다.
고찰
호흡기 이상을 보이는 질환은 여러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 가능하다. 특히 상부 호흡기 이상을 보이는 비강 내 문제들은 일반 검사를 통해서 초기에 진단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기침을 보이는 원인으로 인두 및 후두의 질환이나 기관 및 하부 기도의 문제나 기관허탈 및 폐실질의 문제인지 등에 대해서 증상과 검진을 종합하여 감별 리스트를 만들고 충분한 history를 통해서 병변 부위를 국소화하는 작업들이 필요하다. 조직검사 결과 nasopharyngeal polyp으로 진단 되었으며 심한 점막의 염증과 궤양을 동반한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종괴로 종양성 병변은 아니며 고양이에서는 주로 어린 연령에서 흔하게 발생하지만, 개에서는 드물게 보고되어 4세에서 13세까지 다양한 연령의 개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중이 부위에서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이, 입, 인두, 코로 돌출되어 나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종괴의 크기, 위치에 따라서 본 환자에서와 같이 호흡곤란이나,이차적 세균 감염으로 코나 귀로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조직학적으로 종괴를 덮고 있은 점막의 형태로 종괴가 유래한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완전한 절제술 이후의 예후는 양호하나,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상 완전한 절제가 어렵기 때문에 재발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후두의 질환들의 일부는 일반 방사선 사진을 통해서 진단을 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많다.
정확한 인후두 부위의 방사선 검사를 위해서는 진정과 마취가 필요하며 이는 호흡곤란을 보이는 환축에 스트레스를 가중 시킬 수 있고 위험성을 줄 수 있으며 명확한 이상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차후 추가적인 마취 후에 CT나 내시경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원에는 비강 내시경을 실시하지 않고 CT검사를 통해 정확한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하고 수술적인 절제를 시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내시경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Reference
Pope ER, Constintinescue GM, 2000: Feline respiratory tract polyps. Kirk's Current Veterinary Therapy 13:794-796.
Parker and Binnington AG: 1984, Nasopharyngeal polyps in cats: three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AVMA 21: 473.
Cameron JG, Dill-Macky E, Hodson DR: 1994, Nasopharyngeal polyp in a cat. Australian Veterinary Practitioner March, 1994.
Seitz SE, Losonsky JM, Maretta SM; 1996, Computed tomographic appearance of inflammatory polyps in three
cats. Veterinary Radiology and Ultrasound. 37: 99-104.
Fingland RB, Gratzek A, Vorhies MW, Kirpensteijn J, 1993: Nasopharyngeal polyp in a dog. J Am Anim Hosp Assoc. 29: 311-314.
Kapatin A, Matthiesen OT, Noon K, Church ET, Scavelli TD, Patnaik AK: 1989,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nasopharyngeal inflammatory polyps in 31 cats. Veterinary Surgery, 18: 59.
Pope ER, Constintinescue GM, 2000: Feline respiratory tract polyps. Kirk's Current Veterinary Therapy 13:794-796.
Parker and Binnington AG: 1984, Nasopharyngeal polyps in cats: three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AVMA 21: 473.
Cameron JG, Dill-Macky E, Hodson DR: 1994, Nasopharyngeal polyp in a cat. Australian Veterinary Practitioner March, 1994.
Seitz SE, Losonsky JM, Maretta SM; 1996, Computed tomographic appearance of inflammatory polyps in three
cats. Veterinary Radiology and Ultrasound. 37: 99-104.
Fingland RB, Gratzek A, Vorhies MW, Kirpensteijn J, 1993: Nasopharyngeal polyp in a dog. J Am Anim Hosp Assoc. 29: 311-314.
Kapatin A, Matthiesen OT, Noon K, Church ET, Scavelli TD, Patnaik AK: 1989,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nasopharyngeal inflammatory polyps in 31 cats. Veterinary Surgery, 18: 59.